Docker(도커)

리눅스(Linux) 기초1

Jr.고래 2024. 7. 3. 23:15

 

백엔드 개발자로서 공부를 하다보면 보게되는 검은 화면  aws ec2 터미널, 혹은 개인 pc의 터미널환경

 

이해가 안되고 낯설어서 어렵게 느껴진다.

 

터미널이란 ?  간단히 말하면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마우스를 통해 직관적 사용자 친화적

CLI(commonad line interface) :  텍스트를 타이핑해서 지시  (저장해두었다가 자동화,재사용 가능 여러개의 창을 띄울 필요 없음 )

                                                       —> 개발자는 CLI를 필연적으로 활용할수밖에 없음. (도커,ec2리눅스)

 

예시 )  cd는 뭐고 뭔가 안된다는 뜻 같은데 왜 안되는걸까? 

 

 

 

기본 환경설정 

 

- 윈도우같은경우는 Bash shell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리눅스 환경과 유사한 터미널을 제공한다.

 

- 맥북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이 유닉스 계열의 운영 체제인 macOS에서 실행되므로 리눅스 환경과 매우 유사하다. 

 

- aws ec2 ubuntu 인스턴스가 존재한다면 인스턴스로 연습해도 좋을것이다.

 

-  VM을 설치하고 우분투 OS를 설치하는 방식도 있을것이다

 

- 도커는 우분투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Docker 컨테이너를 통해서 우분투 환경을 구성 후 실습을 해도 된다.

 

위 4가지 방법중 1가지 터미널 환경을 택해서 리눅스 명령어를 연습하면 될 것이다

 

현재 나는 도커를 연습하는 입장이므로 실제 컨테이너에 우분투 환경을 구축해서 해보도록 하겠다. 

https://itwhale.tistory.com/68

 

Docker를 활용한 Linux 실습환경 구축

방법1 -- > Docker 직접 실행방법2 --> Dockerfile로 빌드 방법3 --> Dockerhub에 올려놓은 이미지 다운로드 및 실행  * 먼저, 도커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도커는 설치가 간단하고 구글링하면 금방 나

itwhale.tistory.com

위의 과정을 마쳤다면 도커를 활용해서 간단하게 우분투 컨테이너를 실행시킨다음에 인터렉션 모드로 우분투 내부로 접속한다 .

 

 

 

1.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한다  

명령어를 보면 ..을 통해 상위디렉토리로 가려고 하지만 더 이상 경로가 바뀌지 않는것을 알 수 있다.

(..이란 ? --> 기본명령어로 ../는 상위디렉토리로 ./는 현재폴더 /는 루트디렉토리 를 의미한다)

 

2. 명령어는 대소문자 구분을 한다 .

똑같은 cd지만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다.

 

3. 터미널 환경에서 성공을 하면 무응답인 경우도 있다

 

위의 화면에서 cd..을 했지만 아무 반응이 없다 무응답도 하나의 잘 처리되었다는 응답이라는 것이다.

실패를 하면 CD.. 처럼 무조건 응답을 주게 설계되어있다.

 

4. tab 키를 통한 자동완성을 지원해준다

cd sbin을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sbin/ 이라는 링크파일도 있고 sbin.usr-is-merged라는 디렉토리 파일도 있어서 뭐를 특정하는지 컴퓨터는 알 수 없다

그러나 sbin.을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특정할 수 있는 것이 sbin.usr-is-merged밖에 없으므로 자동완성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