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상

제 53회 SQLD 시험 준비 및 시험후기

Jr.고래 2024. 5. 19. 14:17

결과 : 88점 합격 ~!!! 

https://itwhale.tistory.com/54

 

SQLD시험 합격

 

itwhale.tistory.com

위 링크는 합격후기 입니다. 

 

SQLD 시험이란 ?? 

 

SQLD (SQL Developer) 시험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자격시험으로, 데이터베이스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SQLD 자격증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운영, SQL 작성 등 데이터베이스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 역량을 인증해줍니다.

 

시험 세부과목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 데이터모델의 이해
  • 엔터티
  • 속성
  • 관계
  • 식별자
데이터 모델과 SQL
  • 정규화
  • 관계와 조인의 이해
  • 모델이 표현하는 트랜잭션의 이해
  • Null 속성의 이해
  • 본질식별자 vs 인조식별자
SQL 기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 SELECT 문
  • 함수
  • WHERE 절
  • GROUP BY, HAVING 절
  • ORDER BY 절
  • 조인
  • 표준 조인
SQL 활용
  • 서브쿼리
  • 집합 연산자
  • 그룹 함수
  • 윈도우 함수
  • Top N 쿼리
  • 계층형 질의와 셀프 조인
  • PIVOT 절과 UNPIVOT절
  • 정규 표현식
관리 구문
  • DML
  • TCL
  • DDL

 

 

간단히 말해서 DB를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SQL)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SQLD시험 일정입니다. !

 

https://www.dataq.or.kr/www/main.do

!! 시험 접수는 여기서 !! 

* 시험비 5만원 *

 

 

SQLD시험 당일 수험 일정표입니다.

 

9:30분까지 입실하셔야하고 10시까지 신분확인 및 답안지 배부시간이있어요

시험은 1시간30분(90분) 진행이 되고 시험 시작 30분 후 (10시반) 부터 퇴실가능합니다.

중간에 화장실은 못 다녀오고 10시전까지 화장실 다녀올 수있으니 참고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51회차에 떨어졌어요.. (2점차이)

 

 

 

 

 

- 공부할 때 참조한곳  

데이터 전문가 포럼 : SQLD에 관한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sqlpd

 

데이터 전문가 포럼 (빅데이터분석기사... : 네이버 카페

빅데이터분석기사, ADP, ADsP, SQLP, SQLD, DAP, DAsP, 자격증 취득 등 데이터 전문가 커뮤니티입니다.

cafe.naver.com

 

홍쌤의 데이터랩 : SQLD 이론 + 문제풀이

https://www.youtube.com/@hdatalab

 

홍쌤의 데이터랩

홍은혜 강사 전) 삼성SDS 빅데이터 엔지니어 출신 현) 빅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분야 전문강사(KDT, 선도기업, 기업강의 등) 이메일 : ehhhh0407@gmail.com

www.youtube.com

 

어쩌다 DBA : 저는 (구) 노랭이가 있어서 예전에 봤지만 (신) 노랭이로도 충분히 볼 수 있을거 같아요 

https://www.youtube.com/@opportunelydba/videos

 

어쩌다DBA

쉽게 알려주는 SQL 강의실입니다. 함께 성장해나가 보아요☺️ 질문 및 기타문의 : opportunelydba@gmail.com

www.youtube.com

 

기출문제 복원  

https://yunamom.tistory.com/

 

Study with yuna🌷

JAVA 와 SQL 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yunamom.tistory.com

 

 

- 사용한 참고서,문제지

SQLD 자격검정 실전문제 - 노랑이(구판 + 개정판) 개정판 필수 !! 

홍쌤카페 회원가입 후 받은 ppt 

* 개인적으로 유xx(녹색책) 사놓고 별로여서 1도 안봤어요 

 

 

공부 방법 (2024.5.13~2024.5.25)

1주 정도는 홍쌤 유튜브 보면서 계속 필기하면서 이론공부만 했어요 (강의듣는거만 최소 3시간)

이론 공부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홍쌤이 무료로 동영상강의 + ppt 제공 해주시니까 너무 감사한부분.. 

 

나머지 1주는 홍쌤 유튜브 다시 보면서 ppt파일 주신거로 이론 점검하고 노랭이 기출문제풀었어요

 

노랭이 기출에서 모르는 부분은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에서 검색하면 다 나와요 ( ex) 51번 ) 

 

노랭이가 어려운데 여러번 회독한다는 느낌으로 1회독떄는 어렵거나 긴거 보이면 일단 패스하시고

쉬운거부터 푼다는 생각으로 짧은거만 쭉 푸세요 

 

2회독때는부터는  1회독때 푼거 + 이론공부 + 답안지 로 문제나 시험방식에 익숙해지시고 풀만한것들 조금씩 늘려가는게 좋은거 같아요

이렇게 점점 늘려가시면 좀 괜찮으실거예요

*중요한 점은 처음에는 모르겠으면 너무 스트레스 받지말고 패스하는거 !!

60점 이상이면 다 합격이기 때문에 30문제를 확정적으로 맞추는게 중요

 

시험 2~3일 전 부터는 티스토리에서 기출문제 너무 진지하게 말고 정답과 문제 훑어보자는 느낌으로 접근했어요 

 

(홍쌤 유튜브 + 노랭이 + 티스토리기출) 점진적으로 늘려가기 

 

결과적으로 홍쌤 유튜브만 한 5번 정도 본거 같아요 ( 배속기능 활용 ) ,

                  노랭이 최소 5회독(나중가면 쉬운거는 문제,정답,보기 다 외워지니까 빨라져요)

                  티스토리 기출(1~2번)

 

 

 

개인적인 의견 (팁)

저도 비전공자이고 개발자로 취업준비(데이터베이스 간단하게 사용해봄) 중이지만 

준비하면서 쉽지 않은 시험인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외우는 것보다 이해하는게 더 많은 영역이기도 하고요.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습니다 

3일합격? 1주합격? 하시는 분들은 솔직히 머리가 좋으신거니까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강조드리지만 저는 51회 시험에서도 한번 공부를 했고, db를 다뤄본 상태에서도 다시 공부해봤지만 쉽지 않다고 느꼈어요

저 같이 평범하거나 이쪽 관련 지식이 없으신 분들은 최소 3주 ~ 1달 잡고 공부하시는것 추천드려요 

 

 

 

2024/5/25 53회 SQLD 시험 후기 (2024/5/26작성)

 

준비물 : 수험표 ,컴퓨터용 싸인펜, 샤프, 검정펜,생수

* 수험표 같은 경우는 안가져가면 시험관이 알려주는것 같던데 저는 굳이..? 집에 프린터기가 있어서 제 페이스대로 하려고 출력해갔어요

 

고사장에 여유롭게 1시간일찍 도착해서 긴장도 풀겸 잠깐 걸어다니기도하고,  개념정리된책도 좀 다시봤어요

* 10시 이전까지 종이는 볼 수 있는데 태블릿은 미리 넣어둬야하니까 종이책 꼭 챙겨가시는거 추천드릴게요

 

시험시간 1시간30분 꽉 채우는 사람은 저 포함 거의 4명정도이고 1시간 정도에 다 나가시더라고요

* 난 다 못풀겠는데 왜 다 나가지..? 나만뺴고 다 쉬웠나 생각이 들었지만 문제 푸는것에만 집중해서 시간 다 채웠습니다.

 

시험 5분전에 시험지 교체 불가해요 . 1시간15분 내에 다 풀고 마킹한다는 마인드로 해야지 혹여나 재마킹 했을 때 시간 부족하지 않을 것

* 수정액,화이트 사용 불가하기 때문에 시험지 자체를 바꿔서 이름부터 다시 마킹해야돼요 

 

총원 24명  17명 응시, 7명 결시

 

(뭐 어떻게 된건지 모르겠지만? 9시; 55분에 교실에 들어온분도 시험을 치게 해줬다. )

 

 

 

- 시험평 

대체로 평이했던것 같다 

그렇게 어렵고 헬인 지문은 없었고 일부러 틀리게 낸 문제들이 많은것같은 느낌이 심하게 들었다.

그냥 기본개념이어서 어렵지 않는 문제들이지만 뭔가 틀리라고 상황을 억지로 만들어낸 느낌

실제로 앞에 컴퓨터가 있고 db에 대한 기본개념이 있다면 그냥 쳐보고 아 ~ 안되는 구나 이 때는 이렇게 되는구나 익혀야 될것을 이론으로 너무 물어보는 느낌이었다. 

카페에서도 틀리게 하려고 작정하고 냈다는 의견이 강했다

1과목(10문제)짜리가 은근 헷갈리게 많이 나와서 과락을 걱정하는 분들이 많았다

(1과목 4문제만 맞출시 1과목 과락으로 점수상관 없이 불합격)

 

일단 느낌은 불안하긴 하지만 -->  문제를 엄청 헷갈리게 냈음 

1과목 2문제 틀렸고.. 

정규표현식 피벗 총 3문제 찍은거 다 틀렸다고 가정하고 

나머지 문제들은 틀린 범위 15개 이내이지 않을까 싶다 

마음은 합격이라고 외치는데 살짝 긴가민가한? 저번에 1문제 차이로 불합격 해서 그게 좀 더 신경쓰이는것같다.

 

* 궁금하신 점은 언제든지 답변해드려요